2024년 최저시급(최저임금) 확정 최저임금 계산기

2024년 최저시급(최저임금) 확정 최저임금 계산기

열심히 올리고 있는 제 티스토리 블로그에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의 글 주제는 바로 최저임금입니다. 모두 다. 아는 것 같지만 작은 부분을 놓치면 손해를 볼 수 있으니 다시 한번 최저임금에 관련해서 알아 가는 시간을 가져 보자고요 자 그럼 2022년 최저임금과 2023년 최저임금이 어떻게 달라지고 최저임금에 대하여 알아볼게요 최저임금은 무엇인가요? 모두가 근무를 하게 되면 돈을 받습니다.


최저임금 대비 물가지수2013 ver.
최저임금 대비 물가지수2013 ver.

최저임금 대비 물가지수2013 ver.

물가지수는 NEMBEO의 이번 수치를 그대로 사용했으며, 최저임금은 ILO의 2012년 통계, 상대값 추정을 위한 GDP는 2012년 IMF, 평균 임금은 2012년 OECD, PPP는 2011년 OECD 정보를 사용했다. 극단값을 띄는 위쪽의 국가들은 앞서 언급했듯 우선적으로 최저임금이 터무니없이 낮은 국가들입니다. 이에 더해 환율 문제멕시코, 인플레이션베네수엘라 등이 겹치면서 수치가 천정땅으로 뛰어오른 것입니다.

표에 의하면 최저임금 대비 물가지수가 가장 높은 멕시코의 경우 그 비율이 669.5에 이르고 중국이 559.6, 인도 521.32, 러시아 520.88, 베네수엘라 357.69, 타이 310.25, 브라질 252.49로 뒤따르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들 나라의 경우 산업화가 전개형식 중이고 위기를 겪고 있는 만큼 대조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습니다..

최저임금 PPP 대비 물가지수2013 ver.
최저임금 PPP 대비 물가지수2013 ver.

최저임금 PPP 대비 물가지수2013 ver.

다음으로 볼 자료는 최저임금 PPP 대비 물가지수다. PPP란 환율과 물가수준의 관계에 대한 척도로서, 동일한 물건이라면 동일한 가격을 가진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물론 비교역재의 가격이 국가별로 다른 만큼 현실적으로는 그렇지 않습니다. 이는 각국의 화폐가 다른 가치를 가진 만큼 국제 비교에 있어 중요한 지수로 사용됩니다. 널리 알려진 빅맥지수가 PPP를 응용한 것입니다.

자료 부족으로 인해 대부분 선진국들의 수치가 빠진 만큼(1차적으로 추정한 수치에 다시 추정을 더할 바에 그냥 빼는 게 옳다고 판단했습니다.

큰 의미는 갖지 못하겠지만, 한국의 물가지수가 여타 비교군에 비해 높은 것은 분명합니다. 일본의 경우 과거 고물가에 더해 최근 아메노믹스로 대표되는 엔화 저평가가 PPP에 큰 영향을 미쳤다. 실제로 한국의 PPP 기준 평균 임금이 일본을 넘어섰다는 보도가 작년에 나왔었을 정도니 말입니다.

세계 물가지수 추이202
세계 물가지수 추이202

세계 물가지수 추이202

NUMBEO의 물가지수Cost of Living Index는 국가 간, 도시 간 비교를 위해 미국 뉴욕을 100으로 두고 대조적으로 비교한 일종의 지표에 해당합니다. 그러므로 이는 말 그대로 비교를 위한 상대적 기준으로는 유의미하지만, 한 국가 내의 변화를 통시적으로 추적하는 데는 매우 한계적입니다. 왜냐하면 미국이라는 국가, 뉴욕이라는 도시의 물가지수가 예외 경우에 놓이면 모든 지표가 왜곡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코로나 이후 미국의 물가가 폭등하자 이 물가지수 역시 왜곡되기 시작했다. 실제로 물가가 많이 올랐음에도, 미국 뉴욕의 물가가 더 오른 탓에 지표만 봐선 물가가 떨어진 것처럼 인식될 수 있는 것입니다. 다시 한번, 이 통계는 매우 한계적이고 미국을 중심으로 한 상대적 비교만을 의미해야만 되는 점을 유념해주길 바란다. (즉, 지표가 140에서 120이 되었다고 해당 국가의 물가가 떨어졌다고 보시면 안 됩니다.

개인적인 총평

2024년 최저임금에 관련해서 많은 이야기가 있는 것 같습니다. 노동자 측에서는 1만원 이상을 기대했지만 이는 실현되지 못했습니다. 그 이유는 물가상승은 가파르게 되는데 하지만 임금 인상은 2.5 밖에 되지 않았기 때문이죠. 그래서 많이 아쉬움이 남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사측과 경제 입장에서도 고려를 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현재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물가 상승으로 임금 인상도 불가피 하지만, 현재 한국 경제가 침체 국면으로 들어가는 의견이 많습니다.